맨위로가기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47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했으며, 이탈리아 여자 스포츠 중 가장 많은 선수가 등록되어 있다. 2001년 마르코 보니타 감독 취임 후 유럽 선수권 은메달, 2002년 세계 선수권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맞았다. 2007년 유럽 선수권 우승과 월드컵 우승을 달성하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했으나 8강에서 탈락했다. 2009년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 컵 우승을 차지했고, 2011년 월드컵에서 우승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8강에서 탈락했다. 2014년 마르코 보니타 감독이 복귀하여 세계 선수권 4위를 기록했다. 2017년 다비데 마차티 감독 부임 후 2018년 세계 선수권 준우승, 2019년 유럽 선수권 3위를 기록했으며,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주요 대회 성적으로는 올림픽 금메달 1회, 세계 선수권 우승 1회, 월드컵 우승 2회, 유럽 선수권 우승 3회, 네이션스 리그 우승 2회를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여자 국가대표팀 -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FIFA 여자 월드컵과 UEFA 여자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에 꾸준히 참가, 1993년과 1997년 UEFA 여자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8강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둔 바 있다.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6년 FIVB에 가입하여 올림픽 동메달과 4강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최근 네이션스리그에서 부진을 보이는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다.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브라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브라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47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한 남미의 강호로, 남미 선수권 23회 우승 및 월드 그랑프리 12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올림픽 금메달 2회, 세계 선수권 준우승 4회를 차지했다.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탈리아 국기
이탈리아 국기
국가이탈리아
성별여성
웹사이트이탈리아 배구 연맹 공식 웹사이트
협회 정보
연맹이탈리아 배구 연맹 (FIPAV)
대륙 연맹CEV (유럽 배구 연맹)
코칭 스태프
감독훌리오 벨라스코
국제 대회 참가 정보
하계 올림픽 출전 횟수7회
하계 올림픽 첫 출전2000년
하계 올림픽 최고 성적[[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2024)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11회
세계 선수권 대회 첫 출전1978년
세계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2002)
월드컵 출전 횟수4회
월드컵 첫 출전1999년
월드컵 최고 성적[[파일:Simple gold cup.svg|16px]] 우승 (2007, 2011)
지역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유럽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26회
유럽 선수권 대회 첫 출전1951
유럽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우승 (2007, 2009, 2021)
FIVB 랭킹
순위5위 (2024년 3월 기준)
메달 기록
하계 올림픽금1, 은0, 동0
세계 선수권 대회금1, 은1, 동1
월드컵금2, 은0, 동0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 컵금1, 은0, 동0
월드 그랑프리금0, 은3, 동4
네이션스 리그금2, 은0, 동0
유럽 선수권 대회금3, 은2, 동3
하계 유니버시아드금2, 은1, 동0
지중해 게임금8, 은1, 동2

2. 역사

1947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한[2]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이탈리아 여자 스포츠 중 가장 많은 선수 등록 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10만 명 이상이 이탈리아 배구 연맹에 선수로 등록되어 있다.

2001년 마르코 보니타 감독 부임 후, 같은 해 유럽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은메달, 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8강에서 탈락했다.

2006년 9월 마시모 발볼리니 감독 부임 후, 같은 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2007년에는 아겔로 합류 후 유럽 선수권 대회 첫 우승, 월드컵에서 11전 전승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베이징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조리는 월드컵 MVP로 선정되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8강에서 미국에 패하며 탈락했다. 2009년 몽트뢰 배구 마스터스 준우승, 유럽 선수권 대회 2연패를 달성했고,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 컵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 월드 그랑프리 3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011년 유럽 선수권 대회 4위, 월드컵에서는 코스타그란데의 활약으로 2연패를 달성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8강에서 대한민국에 패하며 3회 연속 8강 탈락을 기록했다. 2013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6위에 그쳤다.

2014년 마르코 보니타 감독이 복귀하며 피치니니, 로비안코 등 베테랑 선수들이 복귀했다. 같은 해 자국에서 개최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2015년 월드컵 불참,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2016년 리우 올림픽 유럽 지역 예선 3위로 세계 최종 예선 출전권을 획득, 리우 올림픽 세계 최종 예선 1위로 통과했지만, 리우 올림픽 본선에서는 예선 탈락(9위)했다.

2017년 다비데 마차티 감독 부임 후, 월드 그랑프리 준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유럽 선수권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018년 몽트뢰 배구 마스터스 첫 우승, 세계 선수권 대회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9년 2020년 도쿄 올림픽 대륙간 예선 3전 전승으로 본선 진출, 유럽 선수권 3위를 기록했다.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결승에서 미국을 3-0으로 꺾고 올림픽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2. 1. 초기 (1947년 ~ 2000년)

1947년 국제 배구 연맹(FIVB)에 가입했다.[2] 초기에는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다음은 2000년까지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세계 선수권 대회 기록이다.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점세트 실점대표팀
1952불참
1956
1960
1962
1967
1970예선 탈락
1974
19781라운드20위9361218명단
19821라운드15위8441615명단
19862라운드9위8351018명단
19901/8 결승10위624714명단
19941라운드13위30339명단
19982라운드5위853179명단


2. 2. 마르코 보니타 감독 시대 (2001년 ~ 2006년)

2001년 마르코 보니타 감독이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이탈리아 여자 배구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보니타 감독은 팀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이는 곧바로 성과로 이어졌다. 같은 해 유럽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이탈리아 여자 배구 대표팀은 예상을 뒤엎고 이탈리아 여자 배구 역사상 최초로 우승을 차지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는 세계 배구계에 큰 충격을 안겨준 사건이었다.

그러나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8강에서 탈락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2. 3. 마시모 바르볼리니 감독 시대 (2006년 ~ 2013년)

2006년 9월에 마시모 바르볼리니 감독이 취임했다. 같은 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2연패를 노렸지만 준결승에서 러시아에 패배했고, 3위 결정전에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당시)에 스트레이트 패배하여 4위로 마감했다.[2]

2007년부터 쿠바 대표 출신으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아겔로가 합류하면서, 같은 해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11월 월드컵에서는 데이터 배구와 정교한 컴비네이션 배구가 잘 이루어져 브라질에 스트레이트 승리를 거두는 등, 11전 전승으로 금메달을 획득하여 베이징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는 3년 만에 대표팀에 복귀한 조리가 MVP로 선정되었다.[2]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예선 라운드를 2위로 통과했지만, 8강전에서 미국에 2-3으로 패해 8강에서 탈락했다.[2]

2009년에는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출전한 몽트뢰 배구 마스터스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베테랑 선수들이 복귀한 유럽 선수권 결승에서 네덜란드를 꺾고 2연패를 달성했다. 그 결과, 11월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 컵에 처음 출전하여 브라질, 일본에 승리하며 5전 전승으로 첫 우승을 차지했다.[2]

2010년에는 유망한 젊은 선수들이 기용되어, 월드 그랑프리에서 3위를 차지했다.[2]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차 라운드에서 브라질, 체코에 패배하여 3위로 통과했다. 2차 라운드에서는 미국을 상대로 승리했지만, 5-8위 순위 결정전에 진출하여 최종 순위는 5위였다.[2]

2011년, 3연패를 노렸던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위에 그쳐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11월 월드컵에는 FIVB의 추천으로 출전하여, 그 해 대표팀에 합류한 코스타그란데의 활약에 힘입어, 첫 경기 일본전을 시작으로 연승 행진을 이어가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2]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예선 라운드에서 러시아에 풀세트 접전 끝에 패했지만 2위로 통과했다. 하지만, 8강전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예상 밖의 패배를 당해 3대회 연속 8강 탈락이라는 결과를 낳았다.[2]

2013년, 세대 교체를 시도하며, 디우프, 키리켈라 등 젊은 선수들을 적극적으로 기용했지만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6위로 참패했다.[2]

2. 4. 보니타 감독 복귀와 세대교체 (2013년 ~ 2016년)

2013년 유럽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6위로 참패한 후, 2014년 마르코 보니타 감독이 다시 대표팀 감독으로 복귀했다. 보니타 감독은 피치니니, 로비안코 등 런던 올림픽 이후 대표팀에서 잠시 떠나있던 베테랑 선수들을 복귀시키고, 젊은 선수들을 적극적으로 기용하며 세대교체를 시도했다.

같은 해 9-10월에 이탈리아 자국에서 개최된 2014년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순조롭게 3차 라운드에 진출했다. 미국, 러시아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준결승에서 중국에 패배했다. 3위 결정전에서는 브라질에 아쉽게 패하며 4위를 기록,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2015년 가을에 개최된 월드컵에는 이전 대회 우승 팀이었지만 출전하지 못했다. 같은 해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8강에서 패배하여 7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여자 배구 유럽 지역 예선에서는 당시 17세였던 오로와 에고누를 선발 출전시켜, 3위 결정전에서 터키를 상대로 풀세트 접전 끝에 승리하며 세계 최종 예선 출전권을 획득했다. 같은 해 5월에 개최된 리우 올림픽 세계 최종 예선에서는 조 1위로 통과했지만, 리우 올림픽 본선에서는 예선 라운드에서 탈락하여 9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2. 5. 다비데 마차티 감독 시대 (2017년 ~ 2023년)

다비데 마차티 감독은 2017년에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했다. 그 해 월드 그랑프리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이탈리아 대표팀을 다시 한번 세계 정상급 팀으로 발돋움시켰다. 이 대회 결승전에서는 브라질에 아쉽게 패했지만, 2005년 대회 이후 3번째 은메달이었다.[2]

2018년에는 몽트뢰 배구 마스터스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같은 해 9-10월에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중국을 풀세트 접전 끝에 꺾으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세르비아와 다시 풀세트 접전을 벌였지만 아쉽게 준우승을 차지하며 2002년 대회 이후 오랜만에 메달을 획득했다.[2]

2019년 8월, 이탈리아는 자국에서 개최된 2020년 도쿄 올림픽 대륙간 예선에서 3전 전승으로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같은 해 9월에 개최된 유럽 선수권에서는 3위 결정전에서 폴란드를 꺾고 2009년 대회 이후 메달을 획득했다.[2]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다음과 같은 성적을 거두었다.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세트 실
2018예선 라운드7위151053422
2019결선 라운드6위171164027
2021예선 라운드12위154112435
2022결선1위151324014
20238강6위13852926
2024결선1위151324111


2. 6. 훌리오 벨라스코 감독 시대 (2024년 ~ 현재)

훌리오 벨라스코 감독이 2024년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새로운 사령탑으로 부임하면서 팀은 큰 변화를 맞이했다. 벨라스코 감독의 지도 아래, 이탈리아 대표팀은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결승전에서 미국을 상대로 세트 스코어 3-0의 완벽한 승리를 거두며, 이탈리아 여자 배구 역사상 최초로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는 이탈리아 여자 배구 역사에서 가장 빛나는 순간 중 하나로 기록될 것이다.

3. 주요 대회 성적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국제 배구 연맹(FIVB) 주관 대회인 월드컵에서 2007년과 2011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2002년에 우승, 2018년에 준우승, 2022년에 3위를 기록했다.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2007년, 2009년, 2021년에 우승을 차지했으며, 지중해 게임에서는 1979년부터 2022년까지 금메달 8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월드컵 기록
년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세트실세트대표팀
1973예선 탈락
1977예선 탈락
1981예선 탈락
1985예선 탈락
1989예선 탈락
1991예선 탈락
1995예선 탈락
1999-7위11561921대표팀
2003-4위11742214대표팀
2007-1위11110332대표팀
2011-1위11101318대표팀
2015예선 탈락
2019예선 탈락
합계2회 우승4/1344331110545



기타 국제 대회 기록
대회명1975197919831987199119972001200520092013201820222009
지중해 게임은메달금메달금메달동메달금메달금메달금메달동메달금메달금메달5위금메달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금메달


3. 1. 올림픽

하계 올림픽 기록
년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세트실세트선수 명단
2000년 시드니 올림픽조별 예선9위514712선수 명단
2004년 아테네 올림픽8강5위642146선수 명단
2008년 베이징 올림픽8강5위642147선수 명단
2012년 런던 올림픽8강5위642158선수 명단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조별 예선9위514412선수 명단
2020년 도쿄 올림픽8강6위6331110선수 명단
2024년 파리 올림픽결승1위660181선수 명단
합계1회 우승7/164023178356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결승에서 미국을 3-0으로 꺾고 올림픽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2]

3. 2. 세계선수권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국제 배구 연맹(FIVB) 주관 대회인 세계 선수권 대회에 1978년 대회부터 참가하기 시작했다. 1952년부터 1974년까지는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점세트 실점
19781라운드20위9361218
19821라운드15위8441615
19862라운드9위8351018
19901/8 결승10위624714
19941라운드13위30339
19982라운드5위853179
2002결승1위1192309
2006준결승4위11832210
20102라운드5위11832813
2014준결승4위131033513
2018결승2위131123613
2022준결승3위121023310
2025진출
총계1회 우승12/201137340249151



2002년 대회에서는 결승에 진출하여 금메달을 획득하며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18년 대회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지만 준우승을, 2022년 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3. 3. 월드컵

연도순위
1999년7위
2003년4위
2007년우승
2011년우승
2015년불참
2019년불참



2007년 대회에서는 데이터 배구와 정교한 조합 배구가 잘 어우러져 브라질을 스트레이트 승리로 이기는 등, 11전 전승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베이징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조리가 MVP로 선정되었다.[2]

2011년 대회에는 FIVB의 추천으로 출전하여, 코스타그란데의 활약에 힘입어 첫 경기 일본전부터 연승을 이어가며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2]

3. 4. 유럽선수권

연도순위
1951년6위
1967년10위
1971년8위
1975년9위
1977년11위
1981년8위
1983년7위
1985년5위
1987년6위
1989년3위
1991년4위
1993년4위
1995년6위
1997년5위
1999년3위
2001년준우승
2003년6위
2005년준우승
2007년우승
2009년우승
2011년4위
2013년6위
2015년7위
2017년5위
2019년3위
2021년우승
2023년4위


3. 5. 기타 국제 대회


  • - '''세계 선수권 대회'''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점세트 실점대표팀
1952불참
1956불참
1960불참
1962불참
1967불참
1970예선 탈락
1974예선 탈락
19781라운드20위9361218명단
19821라운드15위8441615명단
19862라운드9위8351018명단
19901/8 결승10위624714명단
19941라운드13위30339명단
19982라운드5위853179명단
2002결승1위1192309명단
2006준결승4위11832210명단
20102라운드5위11832813명단
2014준결승4위131033513명단
2018결승2위131123613명단
2022준결승3위121023310명단
2025진출
총계1회 우승12/201137340249151


  • 2002 —
    '''금메달'''[1]
  • : 안자넬로, 보렐리, 카르둘로, 레게리, 로 비안코, 멜로, 미프코바, 파지, 피치니니, 리니에리, 상줄리아노, 토구트. 감독: 보니타

  • - '''지중해 게임'''

  • 1975년 — -- 은메달[2]
  • 1979년 — -- 금메달[3]
  • 1983년 — -- 금메달
  • 1987년 — -- 동메달
  • 1991년 — -- 금메달
  • 1997년 — -- 금메달
  • 2001년 — -- 금메달
  • 2005년 — -- 동메달
  • 2009년 — -- 금메달
  • 2013년 — -- 금메달
  • 2018년 — 5위
  • 2022년 — -- 금메달

4. 선수

1947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한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이탈리아 여자 스포츠 중 가장 선수 등록 수가 많은 종목으로, 10만 명 이상이 이탈리아 배구 연맹에 선수로 등록되어 있다.

2001년 마르코 보니타 감독 취임 후, 같은 해 유럽 선수권 은메달, 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8강에서 탈락했다.

2006년 마시모 발볼리니 감독 부임 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 월드컵 금메달,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 컵 우승을 차지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1년 월드컵에서는 카롤리나 코스타그란데의 활약으로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2013년 세대 교체 시도는 유럽 선수권 대회 6위라는 부진한 결과로 이어졌으나, 2014년 마르코 보니타 감독 복귀 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2017년 다비데 마차티 감독 체제하에 월드 그랑프리 은메달, 2018년 세계 선수권 대회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9년에는 도쿄 올림픽 대륙간 예선 전승으로 본선 진출권을 획득하고, 유럽 선수권 3위를 기록했다.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결승에서 미국을 꺾고 올림픽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 주요 선수 ===

다음은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을 빛낸 주요 선수들이다.

선수포지션주요 경력
파올라 에고누아포짓2018년 세계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22년 네이션스 리그 우승
시모나 지올리미들 블로커2007년 월드컵 금메달, 2010년 월드 그랑프리 3위
카롤리나 코스타그란데레프트2011년 월드컵 금메달
파올라 크로체리베로2007년 월드컵 금메달
프란체스카 피치니니레프트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04년 월드 그랑프리 준우승
엘리사 토굿아포짓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발렌티나 아리게티미들 블로커2011년 월드컵 금메달
타이스마리 아궤로아포짓, 세터2007년 월드컵 금메달, 2008년 월드 그랑프리 3위
엘레오노라 로 비앙코세터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07년 월드컵 금메달
안토넬라 델 코레레프트2007년 월드컵 금메달, 2011년 월드컵 금메달
시모나 리니에리레프트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마누엘라 레게리미들 블로커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파올라 카르둘로리베로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07년 월드컵 금메달
다리나 미프코바레프트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사라 안자넬로미들 블로커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07년 월드컵 금메달, 2011년 월드컵 금메달
마우리치아 카차토리세터
파올라 파지미들 블로커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나디아 센토니아포짓2008년 월드 그랑프리 3위
제니 바라자미들 블로커2007년 월드컵 금메달
마르티나 기기미들 블로커2007년 월드컵 금메달


4.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21년 유럽 선수권 대회 이탈리아 대표팀 선수 명단이다.[3] 감독은 다비데 마차티이다.

번호이름생년월일체중스파이크 높이블로킹 높이2020–21 소속 클럽
3알레시아 젠나리1.84m302cm284cm 이모코 코넬리아노
4사라 보니파시오1.86m324cm244cm AGIL 노바라
5오펠리아 말리노프1.85m304cm285cm 아주라 볼리 산 카스치아노
6모니카 데 제나로1.74m292cm217cm 이모코 코넬리아노
8알레시아 오로1.8m308cm231cm 프로 빅토리아 몬차
10크리스티나 키리켈라1.95m322cm306cm AGIL 노바라
11안나 다네시1.98m312cm294cm AGIL 노바라
13사라 파르1.94m322cm306cm 이모코 코넬리아노
14엘레나 피에트리니1.9m330cm306cm 사비노 델 베네 스칸디치
15실비아 누와칼로르1.77m330cm312cm 아주라 볼리 산 카스치아노
17미리암 실라 (주장)1.84m320cm240cm 프로 빅토리아 몬차
18파올라 에고누1.93m344cm321cm 바키프방크 SK
20베아트리체 파로키알레1.67m296cm213cm 프로 빅토리아 몬차
24알레시아 마차로1.85m302cm284cm 키에리 '76 배구
29소피아 도도리코1.87m312cm302cm AGIL 노바라



감독 다비데 마차티
No.선수명유니폼 네임신장소속P
1인드레 소로카이테Sorokaite188cmAzzurra Volley San Casciano SSDOP
5오펠리아 말리노브Malinov185cmPallavolo Scandicci SDB SSDRLS
6모니카 데 제나로De Gennaro174cmImoco Volley SRL SSDL
7라파엘라 폴리에Folie187cmImoco Volley SRL SSDMB
8알레시아 오로Orro180cmUYBA Volley SSDRLS
10크리스티나 키리켈라Chirichella194cmAgil Volley SSDARLMB--
11안나 다네시Danesi198cmImoco Volley SRL SSDMB
13사라 파르Fahr194cmClub ItaliaMB
14엘레나 피에트리니Pietrini190cmClub ItaliaWS
15실비아 누와칼로르Nwakalor180cmClub ItaliaOP
16루치아 보세티Bosetti178cmPallavolo Scandicci SDB SSDRLWS
17미리암 실라Sylla184cmImoco Volley SRL SSDWS
18파올라 에고누Egonu193cmAgil Volley SSDARLOP
20베아트리체 파로키알레Parrocchiale168cmAzzurra Volley San Casciano SSDL



; S: 세터

; OH: 아웃사이드 히터

; OP: 아포짓 히터

; MB: 미들 블로커

; L: 리베로

; R: 리시버

4. 2. 주요 선수

다음은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을 빛낸 주요 선수들이다.

선수포지션주요 경력
파올라 에고누아포짓2018년 세계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22년 네이션스 리그 우승
시모나 지올리미들 블로커2007년 월드컵 금메달, 2010년 월드 그랑프리 3위
카롤리나 코스타그란데레프트2011년 월드컵 금메달
파올라 크로체리베로2007년 월드컵 금메달
프란체스카 피치니니레프트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04년 월드 그랑프리 준우승
엘리사 토굿아포짓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발렌티나 아리게티미들 블로커2011년 월드컵 금메달
타이스마리 아궤로아포짓, 세터2007년 월드컵 금메달, 2008년 월드 그랑프리 3위
엘레오노라 로 비앙코세터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07년 월드컵 금메달
안토넬라 델 코레레프트2007년 월드컵 금메달, 2011년 월드컵 금메달
시모나 리니에리레프트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마누엘라 레게리미들 블로커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파올라 카르둘로리베로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07년 월드컵 금메달
다리나 미프코바레프트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사라 안자넬로미들 블로커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07년 월드컵 금메달, 2011년 월드컵 금메달
마우리치아 카차토리세터
파올라 파지미들 블로커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나디아 센토니아포짓2008년 월드 그랑프리 3위
제니 바라자미들 블로커2007년 월드컵 금메달
마르티나 기기미들 블로커2007년 월드컵 금메달


참조

[1] 웹사이트 FIVB Women’s Volleyball World Ranking https://en.volleybal[...] 2024-03-03
[2] 웹사이트 Confédération Européenne de Volleyball (CEV) http://www.fivb.org/[...] FIVB 2010-07-27
[3] 웹사이트 TEAM ROSTER https://www.volleyb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